[자료구조 | Data Structure] 그래프 이론 Graph Theory
안녕하세요,오늘은 알고리즘에 사용되는 자료구조를 정리해보려고 합니다.알고리즘 문제 풀이에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자료구조증 하나, 그래프에 대하여 정리해보겠습니다.그래프(Graph), 혹은 그래프 이론(Graph Theory)라고 불리는 이 자료구조는, DFS, BFS 문제를 푸는 데 기초가 되는 이론이고,나아가 위상정렬 등의 문제를 푸는 데도 기초가 됩니다.트리 문제도 그래프 이론에서 출발하죠!그래서 저도 기초를 다시 다지기 위해서 정리해봅니다. :)그래프 이론(Graph Theory) 기초 개념 정리그래프는 현실 세계의 네트워크, 관계, 연결구조를 수학적으로 표현한 자료구조 입니다.소셜 네트워크, 지도, 컴퓨터 네트워크, 알고리즘 문제 등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 그래프란?: 그래프란 정점(Vertex..
2025. 5. 26.
[알고리즘/Algorithm] 소수 판별 -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 Sieve of Eratosthenes / BOJ 4948 베르트랑 공준 예제 풀이
안녕하세요,이번에는 소수 판별 알고리즘인 '에라토스테네스의 체'에 대해서 포스팅 해 보려고 합니다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Sieve of Eratosthenes)에라토스테네스의 체는 여러 개의 수 중에서 소수를 빠르게 찾아내는 알고리즘입니다. 소수란?1과 자기 자신만을 약수로 가지는 1보다 큰 자연수입니다. 예를 들어, 2, 3, 5, 7, 11, 13, 17 등은 소수입니다. ◆ 기본 원리 1. 2부터 N까지의 모든 숫자를 소수라고 가정합니다.2. 가장 작은 소수(2)부터 배수를 제거하여 소수가 아닌 숫자를 지웁니다.3. 남아 있는 숫자들이 소수가 됩니다. 위와 같은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소수 판별 알고리즘을 구현합니다. 예를 들어, N = 30까지의 소수를 찾는다고 하면, 아래와 같은 과정으로 소수를..
2025. 2. 20.